한국 조선업의 변화
- 리스크 증가: 글로벌 해운사들이 중국 조선소에서의 발주를 줄이고 있는 이유는 리스크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 미국의 강력한 조치: 미국은 선박 한 척에 대해 막대한 수수료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하였으며, 이는 해운사들에게 큰 부담이 되고 있다.
- 국내 조선사 반격: 이러한 상황 덕분에 국내 조선사들이 글로벌 시장에서 반격의 신호탄을 쏘아 올리고 있다.
- 정치적 안정성: 해운사들은 단순한 가격 경쟁력보다 정치적 안정성과 기술 신뢰도를 고려하여 조선소를 선택하고 있다.
미국의 제재 조치
- 수수료 부과 발표: 미국 무역대표부(USTR)는 중국에서 건조된 선박에 대해 입항 한 번당 최대 150만 달러의 수수료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 중국산 리스크: 이 조치로 인해 해운사들은 갑작스레 ‘중국산 리스크’를 떠안게 되었다.
- 대체 조선소 탐색: 해운사들은 새로운 조선소를 찾기 위해 대체 조선소 탐색에 나서고 있다.
- 유럽 해운사의 반응: 특히 유럽 해운사들이 가장 먼저 반응하여 한국 조선소에 대한 발주를 검토하고 있다.
유럽 해운사의 반응
- 그리스 해운사 발주 검토: 그리스 선주 에반겔로스 마르나키스가 이끄는 해운사 ‘캐피탈마리타임’은 HD현대삼호와 HD현대미포에 약 2조 2650억 원 규모의 발주를 검토 중이다.
- 계약 내용: 이 계약은 대형 컨테이너선부터 중소형 선박까지 포함되며, 2027년부터 인도가 예정되어 있다.
- 정치적 안정성 고려: 이번 발주는 단순한 가격 경쟁력보다 정치적 안정성과 기술 신뢰도를 고려한 선택이라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 미중 갈등의 영향: 미·중 갈등의 장기화로 인해 해운사들은 리스크가 큰 중국산 선박을 기피하고 있다.
한국의 수주량 증가
- 수치적 변화: 영국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3월 한국의 글로벌 선박 수주 점유율은 55%**로 증가하였으며, 이는 중국(35%)을 앞지른 수치이다.
- 1분기 수치: 같은 해 1분기 한국의 수주 점유율은 27%에 불과했으나, 한 달 만에 판도가 뒤집혔다.
- CGT 차이: 척당 CGT(표준선환산톤수)에서도 한국은 4만 8천CGT로, 중국의 1만 7천CGT에 비해 고부가가치 선박을 다수 확보하고 있다.
- 질적 우위: 단순 수량이 아닌 질에서도 한국이 압도적인 우위를 점하고 있다.
조선업계의 생산능력 확대
- 생산능력 확대 필요성: 수주가 몰리면서 국내 조선업계는 생산능력 확대에 속도를 내고 있다.
- 도크 부족 문제: 한국 조선소는 ‘도크 부족’이라는 구조적 한계를 안고 있었으나, 이를 극복하기 위한 전략이 본격화되고 있다.
- 필리핀 수빅조선소 확장: HD한국조선해양은 필리핀 수빅조선소 부지 확장을 추진 중이며, 이 조선소는 미 해군의 아시아 군함 정비를 맡고 있다.
- 인도 진출 모색: HD현대는 인도 진출도 모색 중이며, 타밀나두 지역에서 현지 중공업 대기업인 L&T와 협력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해운사들의 전략 변화
- 납품의 중요성: 조선업계 관계자는 이제는 단순한 생산 경쟁이 아니라, 얼마나 빠르고 믿을 수 있게 납품하느냐가 핵심이라고 강조하였다.
- 한미 간 조선 협력: 조선 협력이 한미 간 주요 이슈로 떠오르고 있으며, 이는 산업 전반에 영향을 줄 수 있다.
- 엑슨모빌의 계약 보류: 엑슨모빌은 중국 조선소에서 건조하려던 액화천연가스벙커링선(LNGBV) 2척의 신조 계약을 보류하고, 한국 등 타국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
- 기대감 증가: 미중 갈등과 대만 해협의 불안정성으로 인해 한국 조선소에 대한 기대감은 당분간 더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미중 갈등의 영향
- 갈등의 장기화: 미중 갈등이 장기화되면서 해운사들은 중국산 선박에 대한 불안 심리가 확산되고 있다.
- 정치적 안정성의 중요성: 해운사들은 정치적 안정성을 중시하며, 이에 따라 조선소 선택에 신중을 기하고 있다.
- 리스크 관리: 해운사들은 리스크 관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안전한 조선소를 찾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 산업 전반에 미치는 영향: 이러한 변화는 조선업계뿐만 아니라, 산업 전반에 걸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동남아 조선소의 실제모습 (0) | 2025.04.14 |
---|---|
조선산업에서 Green Ship Recycle이란 무엇인가? (0) | 2025.04.14 |
울산 동구 조선업 호황으로 외국인 근로자 증가후 현황 (0) | 2025.04.11 |
한텍의 탄소 포집 기술 개발 (2) | 2025.04.11 |
국제해사기구(IMO)의 해양환경보호위원회(MEPC)와 CII 규제안 (0) | 2025.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