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박 기계 시운전은 기장 시운전과 선장 시운전으로 나뉩니다. 기장 시운전은 엔진룸 내 장비를, 선장 시운전은 데크 상부의 장비를 주로 시운전합니다.
기장 시운전 업무
1. 시운전 착수 준비
- 선박이 진수되고 기계, 배관, 케이블 설치가 완료되면 시운전 업무에 착수합니다.
- 이 시점에서 선박은 완전한 deadship 상태로, 어떤 시스템도 가동되지 않습니다.
2. 유틸리티 지원
- 시운전을 위해 육상에서 전기, 물, 압축공기 등의 유틸리티를 지원받아야 합니다.
- 청수탱크에 물을 채우고,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기계 가동 준비를 합니다.
3. Flushing 작업
- 장비 가동 전, flushing 작업이 필요합니다. 대표적으로 oil flushing이 있으며, 압축공기나 N2를 사용한 blowing도 포함됩니다.
- Flushing 작업은 조선소에서 설치한 파이프를 대상으로 하며, 이미 shop test(FAT)를 거친 장비는 추가 flushing이 필요 없습니다.
4. 장비 테스트 순서
- 각종 시스템 flushing 후, 다음 순서로 장비를 테스트합니다:
- Air compressor 가동
- 보일러 가동
- DG 가동
- 각종 보기/펌프 가동
- M/E 가동
5. 해상 시운전
- 모든 장비를 가동한 후, 해상 시운전을 실시합니다.
협력의 중요성
성공적인 시운전을 위해서는 전장 시운전과의 긴밀한 협력이 필수적입니다.
********
선박의 기계 시운전에서 주의해야 할 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안전 점검: 시운전 전에 모든 장비와 시스템의 안전 점검을 철저히 수행해야 합니다. 안전 장치가 제대로 작동하는지 확인하고, 비상 상황에 대비한 절차를 숙지해야 합니다.
2. 유틸리티 공급 확인: 전기, 물, 압축공기 등 필요한 유틸리티가 정상적으로 공급되고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공급이 원활하지 않으면 시운전이 지연될 수 있습니다.
3. Flushing 작업: Flushing 작업을 철저히 수행하여 오염물질이나 이물질이 장비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특히, oil flushing과 같은 작업은 필수적입니다.
4. 장비 가동 순서 준수: 각 장비의 가동 순서를 준수하여야 하며, 순서가 어긋나면 시스템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각 단계에서의 점검과 테스트를 소홀히 해서는 안 됩니다.
5. 모니터링 및 기록: 시운전 중 모든 데이터를 모니터링하고 기록해야 합니다. 이는 문제 발생 시 원인 분석에 도움이 됩니다.
6. 팀원 간의 소통: 시운전 팀원 간의 원활한 소통이 중요합니다. 각자의 역할을 명확히 하고, 문제가 발생할 경우 즉시 보고하고 대응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7. 환경 조건 고려: 해상 시운전 시 기상 조건이나 해양 환경을 고려해야 합니다. 악천후나 해양 상황이 좋지 않을 경우 시운전을 연기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8. 비상 대응 계획: 비상 상황에 대비한 대응 계획을 마련하고, 모든 팀원이 이를 숙지해야 합니다. 비상 상황 발생 시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러한 주의사항을 준수함으로써 안전하고 효율적인 기계 시운전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
기계 시운전 중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주의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안전 교육 및 훈련: 모든 작업자는 시운전 전에 안전 교육을 받고, 장비의 작동 및 비상 절차에 대한 훈련을 받아야 합니다.
2. 개인 보호 장비 착용: 헬멧, 안전화, 장갑, 고글 등 개인 보호 장비를 반드시 착용하여야 하며, 작업 환경에 맞는 장비를 선택해야 합니다.
3. 작업 공간 정리: 작업 공간을 깨끗하고 정돈된 상태로 유지하여, 장애물이나 이물질로 인한 사고를 예방해야 합니다.
4. 장비 점검: 시운전 전에 모든 기계 및 장비의 상태를 점검하고, 이상이 발견되면 즉시 보고하고 수리해야 합니다.
5. 비상 장치 확인: 비상 정지 버튼, 경고등, 소화기 등 비상 장치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6. 작업 지침 준수: 제조업체의 매뉴얼 및 작업 지침을 철저히 준수하여야 하며, 임의로 절차를 변경하지 않아야 합니다.
7. 팀원 간의 소통: 작업 중에는 팀원 간의 소통을 원활히 하여, 서로의 위치와 작업 상태를 항상 인지해야 합니다.
8. 장비 가동 전 점검: 장비를 가동하기 전에 모든 안전 장치가 작동하는지 확인하고, 주변에 사람이 없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9. 비상 상황 대비: 비상 상황 발생 시 대처 방법을 미리 숙지하고, 비상 연락망을 마련해 두어야 합니다.
10. 정기적인 휴식: 장시간 작업 시 정기적으로 휴식을 취하여 집중력을 유지하고, 피로로 인한 사고를 예방해야 합니다.
이러한 주의사항을 준수함으로써 기계 시운전 중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
시운전 중 착용해야 할 안전 장비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헬멧: 머리를 보호하기 위해 안전 헬멧을 착용해야 합니다. 특히 높은 곳에서 작업하거나 중량물 취급 시 필수입니다.
2. 안전 안경: 눈을 보호하기 위해 안전 안경이나 고글을 착용해야 합니다. 이물질이나 화학물질로부터 눈을 보호합니다.
3. 귀마개 또는 귀덮개: 소음이 큰 환경에서는 청력을 보호하기 위해 귀마개나 귀덮개를 착용해야 합니다.
4. 장갑: 손을 보호하기 위해 적절한 장갑을 착용해야 합니다. 기계 조작 시 손을 다치지 않도록 도와줍니다.
5. 안전화: 발을 보호하기 위해 미끄럼 방지 기능이 있는 안전화를 착용해야 합니다. 중량물에 의한 부상을 예방합니다.
6. 고립복 또는 방호복: 화학물질이나 고온의 물질을 다룰 경우, 적절한 방호복을 착용하여 피부를 보호해야 합니다.
7. 안전벨트: 고소 작업 시 안전벨트를 착용하여 낙하 사고를 예방해야 합니다.
8. 반사 조끼: 작업 환경이 어두운 경우, 반사 조끼를 착용하여 가시성을 높여야 합니다.
이러한 안전 장비를 착용함으로써 시운전 중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위험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할 수 있습니다.
선박내부 소개 - Bridge, Wheel house (0) | 2024.10.19 |
---|---|
안전작업관리 PTW, LOTO (2) | 2024.10.19 |
선박의 IAS, AMS와 휴대폰, 워치를 연동하는 앱 개발 (1) | 2024.10.19 |
선박의 종류 (3) | 2024.10.19 |
선박 전기시운전 업무 (0) | 2024.1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