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래스카 LNG 프로젝트 개요
-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는 미국이 한국의 참여를 압박하고 있는 상황이다.
- 역대 정부는 미국의 참여 제안을 여러 차례 거절한 바 있다.
- 투자 성과를 보기 위해서는 10년 이상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 정권 교체 시 프로젝트가 중단될 위험성이 존재하며, LNG 가격의 변동성도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
미국의 투자 요청 역사
- 미국의 알래스카에 대한 투자 요청은 40여 년 전부터 시작되었다.
- 월터 히켈은 1983년 방한하여 한국 정부에 LNG 도입 확대와 가스관 합작 건설을 요청하였다.
- 당시 한국 정부는 LNG 가격과 운송 조건에서 미국산의 장점이 없다고 결론지었다.
- 1990년대부터 미국은 가스관 건설보다는 LNG 수입 확대에 초점을 맞추었다.
과거 한국 정부의 반응
- 1984년 1월, 한국의 외무부와 동력자원부, 한국가스공사는 미국 측의 요청에 대해 협조가 어렵다고 결론을 내렸다.
- 막대한 금융 부담이 가스관 건설 공사 참여를 어렵게 만들었다.
- 한국 정부는 난색을 표명하며 미국의 제안을 거절하였다.
트럼프 대통령의 압박
-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을 참여국으로 지목하며 정부의 셈법을 복잡하게 만들었다.
- 한국 정부는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 관련 협의체를 구성하고 투자 가능성을 검토하고 있다.
- 정치적 압박이 한국 정부의 결정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프로젝트의 기술적 도전
- 손양훈 교수는 가스관을 1300㎞ 이상 끌어내려야 하며, 겨울철에는 땅이 얼어붙어 공사가 지연될 것이라고 진단하였다.
- LNG 인도까지는 10년 이상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 이 프로젝트는 기술적 도전이 크고, 시간 소요가 많을 것으로 보인다.
정치적 환경의 불확실성
- 손 교수는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 내 반대 여론을 무시하고 추진하고 있기 때문에 정치 환경 변화에 따라 사업이 흔들릴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하였다.
- 정치적 불확실성이 프로젝트의 성공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LNG 가격의 변동성
- 에너지 가격 변화에 따라 프로젝트의 사업성이 크게 달라질 수 있다.
- BP와 코노코필립스는 2011년 알래스카 가스관 사업에서 손을 뗀 사례가 있다.
- 셰일가스 개발로 인해 천연가스 가격이 급락한 것이 사업 철수의 원인 중 하나이다.
과거 사업 철수 사례
- 엑손모빌은 2016년 사업에서 철수하였으며, 이는 사업 승인을 단독으로 얻은 후의 일이다.
- LNG 가격의 불확실성이 사업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미국의 자재와 인력 우선
- 오 부의장은 미국의 자재와 인력이 우선 투입될 가능성이 높다고 언급하였다.
- 막연한 기대는 금물이며, 한국 정부와 기업의 정교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강조하였다.
정부의 전략적 접근 필요성
- 강천구 교수는 공기업을 활용한 대규모 프로젝트 지분투자가 과거의 실패를 반복할 수 있다고 경고하였다.
- 정부는 기업의 프로젝트 진출 기회를 늘리고, 미국의 가스나 석유 수입을 늘리는 방향으로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주장하였다.
침몰 선박의 위험 유해물질(HNS: Hazardous and Noxious Substance)에 대한 위해도 평가 항목 개선 (0) | 2025.03.07 |
---|---|
이주 노동자와 지역 경제, 노동의 이중구조 고착화. 한국인 미숙련공은 어디로... (0) | 2025.03.07 |
HD현대중공업과 한화의 협력: 한국 조선업계의 새로운 전환점 (0) | 2025.03.06 |
거제 장목에 중소형조선소 생산기술혁신센터 공사 (0) | 2025.03.06 |
침몰선박 위해도 평가관련 평가 항목 및 평가 점수간 상관관계 분석 (0) | 2025.03.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