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유조선 수주잔량과 발주량 증가요인

조선업

by 한국 조선업, 신기술, 선박수주 2024. 11. 5. 14:13

본문

반응형

2024년 11월 현재 세계 주요 조선사들의 유조선 수주잔량과 발주량 증가 요인, 그리고 2030년까지의 발주 예측량에 대한 정보를 정리하였습니다.

유조선 수주잔량
- 현재 수주잔량: 2024년 11월 기준, 세계 주요 조선사들은 약 1,500척의 유조선을 수주한 상태입니다. 이 중 15척은 초대형 유조선(VLCC)으로, 전체 수주량의 약 10%를 차지합니다.
- 주요 조선사: 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 대우조선해양 등 한국의 조선사들이 유조선 발주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발주량 증가 요인
- OPEC+의 생산 조정: OPEC+의 생산 조정으로 인해 유가가 상승하고 있으며, 이는 유조선 수요 증가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2024년에는 유조선 수요가 1.4%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글로벌 물류 회복: 팬데믹 이후 글로벌 물류가 회복되면서 유조선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아시아 지역의 경제 회복이 두드러집니다.
- 환경 규제 강화: 환경 규제가 강화됨에 따라, 더 효율적이고 친환경적인 유조선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는 새로운 기술을 적용한 선박의 발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향후 발주 예측량 (2030년까지)
- 2024년: 약 350척의 유조선 발주가 예상되며, 이는 2023년 대비 증가한 수치입니다.
- 2025년: 발주량은 약 400척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입니다.
- 2026년: 약 450척의 발주가 예상됩니다.
- 2027년: 500척 이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 2028-2030년: 지속적인 수요 증가로 인해 연평균 500척 이상의 발주가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결론
2024년 11월 현재, 세계 주요 조선사들은 유조선 수주잔량이 증가하고 있으며, OPEC+의 생산 조정, 글로벌 물류 회복, 환경 규제 강화 등이 발주량 증가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향후 2030년까지 유조선 발주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조선업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이러한 추세는 조선업의 지속 가능성과 경쟁력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반응형

'조선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LNG WHEEL HOUSE CONSOLE  (0) 2024.11.06
Starting air system  (0) 2024.11.06
Fuel oil consumption of Wartsila 46DF  (0) 2024.11.04
요트디자인  (0) 2024.11.04
2025년 선박안전관리사 시험 일정  (0) 2024.11.04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