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일본의 3대 해운사들이 2030년까지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보유량을 40% 증가예정

조선업

by 한국 조선업, 신기술, 선박수주 2025. 1. 8. 16:33

본문

반응형

일본의 3대 해운사들이 2030년까지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보유량을 40% 이상 늘리기로 결정하면서, 한국 조선업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일본의 주요 해운사인 Mitsui O.S.K. Lines(MOL), NYK Line, Kawasaki Kisen Kaisha(K Line)는 2031년 초까지 LNG 선대 규모를 기존 대비 약 47% 증가시키겠다는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일본 해운사들의 LNG 선대 확대 계획
- MOL: 현재 97척에서 2031년 초까지 150척으로 확대
- NYK Line: 현재 91척에서 2029년 초까지 120척으로 확대
- K Line: 현재 46척에서 2031년 초까지 75척으로 확대

이 프로젝트에 투입될 총 비용은 1조 엔(약 9조 3,500억 원)을 초과할 것으로 예상되며, 세 해운사는 해외 협력사와 비용을 분담하는 방안을 모색 중입니다. 영국의 조선해운 시황 분석기관인 클락슨 리서치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말 기준으로 17만 4,000㎥급 LNG 운반선의 건조가는 약 2억 6,000만 달러에 달합니다.

한국 조선업계의 기회
일본의 3대 해운사는 세계 LNG 선대 점유율의 3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최근까지도 한국 조선업계에 활발히 신조선을 발주하고 있습니다. 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 대우조선해양 등 한국의 조선 빅3는 글로벌 LNG 선 시장에서 독보적인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일본 해운사들이 2030년까지 약 100척의 LNG선을 추가 발주할 계획이어서, 한국 조선소들의 수주 기회가 확대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예를 들어, NYK Line은 최근 삼성중공업으로부터 17만 4,000㎥급 ‘Quest Kirishima’호를 인도받았으며, 이 선박은 일본 Kyushu Electric Power의 자회사인 Q United Energy Supply & Trading이 정기 용선계약을 통해 운영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LNG 시장 전망
최근 몇 년간 중국의 추격이 거세지고 있지만, 한국의 LNG선 신조 시장 주도권은 여전히 유지되고 있습니다. 영국 해사업계 데이터 제공사 VesselsValue에 따르면, 지난해 글로벌 조선업계의 LNG 운반선 수주량 109척 중 한국이 68척을 수주하여 전체 62%의 점유율을 기록했습니다. 중국은 41척을 수주하여 38%의 점유율로 뒤를 이었습니다.

글로벌 LNG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미쓰이 OSK라인의 분석에 따르면, 2035년 해상 LNG 거래량은 6억 2,400만 톤으로 2023년 대비 50% 증가할 전망입니다. 특히,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유럽의 LNG 수요가 급증했으며, 향후 아시아 지역의 수요도 증가할 것으로 보입니다.

미국의 LNG 산업도 새로운 전환점을 맞이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트럼프 당선인이 취임하면 신규 LNG 수출 허가 중단을 해제할 것으로 보이며, 이는 글로벌 가스 가격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미국은 이미 2023년 1,140억㎥를 수출하여 카타르와 호주를 제치고 세계 최대 LNG 수출국이 되었습니다.

LNG는 석탄 대비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30~40% 적고, 발전소의 신속한 가동이 가능해 재생에너지의 간헐성을 보완하는 역할을 합니다. 영국 네덜란드 합작기업 로열더치쉘의 전망에 따르면, 글로벌 LNG 거래량은 2023년 약 4억 톤에서 2040년 최대 6억 8,500만 톤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결론
전문가들은 일본 해운사들의 LNG 선단 확대가 향후 급증할 것으로 보이는 글로벌 LNG 수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전략이라고 평가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막대한 투자 비용과 글로벌 경쟁 심화는 도전 과제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미국의 LNG 수출 확대와 유럽의 수요 증가로 인한 글로벌 LNG 시장 성장은 한국 조선업의 중장기적 성장 동력이 될 수 있습니다. 셸이 예측한 2040년 LNG 거래량 전망치(최대 6억 8,500만 톤)는 이러한 기대를 뒷받침하고 있습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