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조선업의 슈퍼 사이클, 그러나 불안한 미래

조선업

by 한국 조선업, 신기술, 선박수주 2025. 3. 7. 16:02

본문

반응형

한국 제조업의 위기
- 한국 경제의 핵심인 제조업이 복합적인 위기에 직면하고 있다.
- 트럼프 충격파와 중국의 약진, 탄핵정국으로 인해 정부 주도의 정책 동력이 약화되었다.
- 5대 제조업(반도체, 자동차, 조선, 철강, 석유화학)이 세계 선두권에서 밀려나는 상황에 이르렀다.
- 제조업의 위기는 어려운 경제에 직격탄을 날릴 수 있어 비상한 대책이 필요한 시점이다.

조선업의 슈퍼 사이클
- 국내 조선업은 초대형 선박 수주 증가로 슈퍼 사이클(초호황기)을 맞이하고 있다.
- 그러나 미래를 장담할 수 없는 불확실성도 커지고 있다.
- 중국의 저가 공세와 고부가가치 선박 사업 확대, 정부의 후판 반덤핑 관세 부과가 겹치면서 업계의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 기술력과 수주 경쟁력에서 앞서온 한국 조선업은 LNG 운반선과 방산 시장 확대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중국의 저가 공세
- 중국의 저가 공세는 한국 조선업에 부담을 주고 있다.
- 고부가가치 선박 사업으로의 확대가 한국 조선업체들에 위협이 되고 있다.
- 정부의 후판 반덤핑 관세 부과는 조선업계의 원가 부담을 가중시키는 요인이다.
- 중국 조선업체들은 기술력을 빠르게 향상시키고 있다.

LNG 운반선 시장의 우위
- 현재 조선업계는 친환경 선박 수요 증가로 LNG 운반선 시장에서 확실한 우위를 점하고 있다.
- LNG 운반선은 한 척당 2억6000만 달러에 달하는 고부가가치 선박이다.
- 한국 조선업체들은 전 세계 LNG 운반선 시장에서 60%대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 미국의 해군력 강화 기조도 한국 조선업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후판 반덤핑 관세의 영향
- 정부가 중국산 후판에 대해 27.91~38.02%의 반덤핑 관세를 부과하는 예비판정을 내렸다.
- 이는 국내 철강업체 보호를 위한 조치이나, 조선업체들에게는 추가 비용 상승 요인으로 작용할 수밖에 없다.
- 후판은 **선박 제조 원가의 약 20%**를 차지하는 필수 원자재이다.
- 중소형 조선사의 경우 중국산 후판 의존도가 50%를 넘어 원가 부담이 더욱 커질 가능성이 있다.

중소형 조선사의 어려움
- 중소형 조선사는 중국산 후판 의존도가 높아 원가 부담이 더욱 커질 가능성이 있다.
- 이재광 NH투자증권 연구원은 후판 가격 협상에 악영향이 불가피하다고 분석하였다.
- 중국산 후판 수입 축소로 인해 원가율 1% 상승이 우려된다.
- 대형사보다는 중소형 조선사에 더 큰 부담이 될 것이라고 지적되었다.

정부의 균형 있는 성장 정책 필요
- 조선업계는 후판 가격 부담을 완화할 수 있는 대책과 함께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 유지를 위한 전략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 정부의 개입이 필요한 이유는 중국 조선업체들이 고부가가치 선박 시장까지 본격적으로 넘보고 있기 때문이다.
- 과거에는 범용 선박을 중심으로 수주 경쟁을 벌였으나, 최근에는 LNG 운반선과 같은 고부가가치 선박 분야에서도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다.
- 조선업계 관계자는 한국 조선업체들이 자력으로만 경쟁력을 유지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고 지적하였다.

중국 조선업체의 기술 추격
- 영국 선박 가치 평가 기관에 따르면 한국 조선업체들의 LNG선 수주 점유율은 2021년 87%에서 지난해 62%로 하락하였다.
- 반면, 중국은 41척을 수주하며 점유율을 38%까지 끌어올렸다.
- 이는 중국제조 2025 정책을 통해 조선업 분야에 집중 투자하며 기술력을 축적한 결과로 분석된다.
- 중국 조선업계의 글로벌 선박 수주 점유율은 70.6%에 달하며 한국(16.7%)과 일본(4.9%)을 크게 앞섰다.

글로벌 경기 둔화의 영향
- 조선업계는 지난해 슈퍼 사이클을 맞아 13년 만에 동반 흑자를 기록하였다.
- 그러나 수주가 수익으로 전환되기까지 수년이 걸린다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
- 후판 가격 상승과 중국 조선업의 기술 추격이 가시화될 경우 현재의 수주 호황이 기대만큼의 실적로 이어지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 김정덕 국제무역연구원 연구원은 글로벌 경기 둔화로 신규 선박 발주가 줄어든다면 기술력 확보 여력이 부족해질 것이라고 경고하였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