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운업의 탄소중립과 선상 탄소 포집·저장(OCCS) 기술의 부상
전 세계적으로 기후 변화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 목표가 강화되면서, 국제 해운 분야에서도 온실가스 배출 감축이 시급한 과제로 떠올랐습니다. 국제해사기구(IMO)는 2050년까지 해운 부문의 탄소 배출량을 2008년 대비 넷제로(Net-zero) 수준으로 감축하겠다는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다양한 규제를 도입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선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직접 포집하여 대기 중으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선상 탄소 포집·저장(OCCS, Onboard Carbon Capture and Storage) 기술이 해운업의 실효적인 탄소 감축 방안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OCCS는 육상에서 발전소나 산업 시설의 배기가스에서 이산화탄소를 포집하는 탄소 포집·저장(CCS) 기술의 개념을 선박에 적용한 것입니다.
OCCS 기술의 작동 방식 및 중요성
OCCS 시스템은 선박 엔진의 연소 배기가스에서 이산화탄소를 분리하여 포집하고, 이를 액체 형태로 압축하거나 다른 형태로 변환하여 선박 내 저장 탱크에 임시로 저장합니다. 이후 선박이 항만에 입항하면 저장된 이산화탄소를 육상 시설로 하역하여 영구적으로 격리 저장하거나 유용하게 활용하는 과정을 거칩니다.
OCCS 기술이 해운업에서 중요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OCCS 시장의 성장 전망
노르웨이선급(DNV)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해운업계의 이산화탄소 배출량 중 OCCS 시스템을 통해 포집되는 규모가 2040년까지 연간 약 400만 톤, 2050년까지는 1억 1,000만 톤으로 크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2050년 해운업 전체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약 9%를 OCCS가 담당하게 될 것이라는 전망입니다. DNV는 해운업이 CCS 기술이 적용되는 유일한 운송 산업이며, 2030년대에 초기 적용이 시작되어 2040년경부터 본격적으로 확장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도 삼성중공업이 HMM, 파나시아, 한국선급 등과 공동으로 선박 이산화탄소 포집·액화 저장 기술(OCCS) 통합 실증 연구를 진행하는 등 OCCS 기술 개발 및 상용화를 위한 노력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OCCS 기술 확장을 위한 과제
OCCS 기술이 해운업에서 광범위하게 적용되기 위해서는 몇 가지 해결해야 할 과제가 있습니다.
OCCS 기술 확장에서 파생되는 새로운 사업 기회
OCCS 기술의 확장세는 해운업계뿐만 아니라 관련 산업 전반에 걸쳐 다양한 새로운 사업 기회를 창출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러한 새로운 사업 기회들은 OCCS 기술의 가치 사슬 전반에 걸쳐 발생하며, 기술 개발 기업, 조선소, 해운사, 항만 운영사, 에너지 기업, 건설사 등 다양한 주체들이 참여하게 될 것입니다. 특히 한국 조선업계는 OCCS 시스템이 통합된 고부가가치 선박 건조 및 개조 분야에서 강력한 경쟁력을 발휘할 수 있으며, 나아가 CO2 운반선 건조, 항만 하역 시설 관련 엔지니어링 등 연관 산업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할 기회를 모색할 수 있습니다.
결론
선상 탄소 포집·저장(OCCS) 기술은 해운업의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한 중요한 수단으로 부상하고 있으며, 2040년 이후 본격적인 시장 확대가 예상됩니다. OCCS 기술의 확산은 시스템 개발 및 제조, 선박 건조 및 개조, 항만 인프라 구축, CO2 운송 및 저장/활용, 그리고 다양한 서비스 및 컨설팅 분야에서 새로운 사업 기회를 창출할 것입니다. 기술적, 경제적, 인프라적 과제들이 남아있지만, 이러한 기회를 선제적으로 포착하고 대응하는 국가와 기업이 미래 해양 산업 생태계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될 것입니다. 한국 조선업계는 OCCS 기술이 통합된 고부가가치 선박 건조 및 관련 인프라 구축 분야에서 강점을 활용하여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OCCS #선상탄소포집 #CCS #탄소포집저장 #해운업 #탄소중립 #IMO #환경규제 #스마트조선소 #신사업기회 #기술개발 #선박건조 #항만인프라 #CO2운송 #CO2저장 #CO2활용 #CCUS #한국조선 #미래기술 #해양산업
최근 LNG선보다는 컨테이너선 수주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이유 (0) | 2025.06.18 |
---|---|
해운업계 탈탄소화의 핵심: EEXI와 CII 규제 심층 분석 (1) | 2025.06.17 |
러시아산 원유 가격 상한 인하 추진과 한국 조선업의 귀추 (0) | 2025.06.17 |
조선업 기술 대전환과 WAAM 기술의 역할 (0) | 2025.06.17 |
조선업 기술 대전환 (1) | 2025.06.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