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해운 탄소세, LNG 벙커링선 수요 증가 전망

조선업

by 한국 조선업, 신기술, 선박수주 2025. 4. 21. 21:06

본문

반응형

해운 탄소세 도입 배경

  • **국제해사기구(IMO)**는 2028년부터 해운 탄소세를 부과하기로 결정하였다.
  • 이로 인해 경유 대신 **액화천연가스(LNG)**를 연료로 사용하는 선박의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 해운업계에서는 이러한 변화가 환경규제 강화와 관련이 있다고 보고 있다.
  • LNG를 사용하는 선박의 수요 증가가 해운사들에게 새로운 도전과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고 예상된다.

LNG 벙커링선 수요 증가 전망

  • LNG 벙커링선은 해상에서 LNG 선박에 연료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 해운업계에 따르면, LNG 추진선의 수요 증가에 따라 LNG 벙커링선의 수요도 함께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 현재 LNG 벙커링선의 수는 23척에 불과하지만, 향후 수요 증가로 인해 50척 이상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이러한 변화는 해운업계의 구조적 변화와 관련이 있다.

해운사들의 탄소 배출 목표

  • 해운사들은 2035년까지 탄소 배출량을 2008년 대비 최대 43% 줄여야 한다.
  • 목표를 달성하지 못할 경우, 해운사들은 t당 100~380달러의 해운 탄소세를 내야 한다.
  • 전체 해운 탄소세 규모는 연간 100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 이러한 목표는 해운사들에게 경제적 부담을 주지만, 동시에 환경적 책임을 다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LNG 추진선과 벙커링선 현황

  • 현재 전 세계 LNG 추진선의 수는 1308척이며, 2028년까지 2339척 이상으로 증가할 것으로 추정된다.
  • 전체 선박 중 LNG 추진선의 비율은 10% 미만이다.
  • LNG 추진선의 증가에 따라 LNG 벙커링선의 필요성도 증대할 것이다.
  • 해운업계에서는 이러한 변화가 산업 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주목하고 있다.

비용 효율적인 LNG 벙커링선

  • LNG는 기체 천연가스를 영하 162도 이하로 액화하여 운반된다.
  • 대다수 항만은 LNG 저장 및 급유 시설을 갖추지 못하고 있다.
  • 따라서, 항만마다 LNG 저장·급유 시설을 짓는 것보다 해상에서 LNG를 충전하는 것이 비용 효과적이다.
  • LNG 벙커링선의 가격은 1만8000㎥급 기준으로 약 1300억원이다.

HD현대미포의 시장 위치

  • HD현대미포는 벙커링선을 대규모로 건조할 수 있는 1위 조선소로, 수주량은 16척이다.
  • 중국 난퉁CIMC조선소 2위 조선소로, 수주량은 13척이다.
  • 미국 정부의 중국 조선사 압박으로 인해 선주들은 한국 조선소를 선호하고 있다.
  • HD현대미포는 지난해 8척의 벙커링선 주문을 따낸 바 있으며, 아프리카 선사로부터 4척을 5383억원에 수주하였다.

미국의 중국 조선사 압박

  • 미국 정부는 중국 조선사에 대한 압박 수위를 연일 높이고 있다.
  • 이로 인해 선주들은 한국 조선소에 대한 선호 경향이 강해지고 있다.
  • 이러한 상황은 한국 조선업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 HD현대미포와 같은 조선소는 이러한 기회를 통해 시장 점유율을 더욱 확대할 수 있을 것이다.

미래의 LNG 벙커링선 필요성

  • 해운업계에서는 2028년 이후 최소 50척 이상의 벙커링선이 필요할 것으로 보고 있다.
  • LNG 추진선의 증가에 따라 LNG 벙커링선의 수요도 증가할 것이다.
  • 이러한 변화는 해운업계 구조적 변화와 관련이 있으며, 환경 규제에 대한 대응으로 볼 수 있다.
  • LNG 벙커링선의 수요 증가는 조선업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