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론
해운 산업은 전 세계 무역의 90% 이상을 담당하는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그러나 선박이 노후화되어 더 이상 운항할 수 없게 되면 안전하고 환경친화적인 방식으로 해체 및 재활용하는 과정이 필수적입니다. 과거에는 선박 해체 작업이 주로 개발도상국의 해변가에서 비표준적인 방식으로 이루어지면서 작업자의 건강과 안전에 심각한 위험을 초래하고 해양 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제해사기구(IMO)는 2009년 '안전하고 환경친화적인 선박 재활용을 위한 홍콩 국제협약'(Hong Kong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Safe and Environmentally Sound Recycling of Ships, 2009, 이하 HKSRC 또는 홍콩 협약)을 채택했습니다.
HKSRC는 선박의 설계, 건조, 운영, 그리고 최종 재활용까지 선박의 전 생애주기에 걸쳐 안전 및 환경 관리 기준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 협약이 2025년 6월 26일 발효됨에 따라, 전 세계 선주, 선박 운영자, 선박 관리자, 그리고 선박 재활용 시설은 새로운 국제 규제 환경에 직면하게 되었습니다. 본 보고서는 HKSRC 2009의 주요 내용과 적용 범위, 핵심 요구사항을 살펴보고, 특히 선박 재활용 과정에서 발생하는 바젤 협약과의 잠재적인 충돌 문제, 규제 준수를 위한 업계의 과제 및 대응 전략, 그리고 인증기관의 지원 서비스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조선 및 해운 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심층적으로 다루고자 합니다.
1. 홍콩 선박 재활용 협약(HKSRC) 2009의 개요 및 발효
1.1 협약의 배경 및 목적
홍콩 협약은 선박 재활용 관행으로 인한 인명 피해, 건강 문제, 환경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되었습니다. 과거 선박 해체 작업이 주로 이루어지던 남아시아 일부 국가에서는 유해 물질이 제대로 관리되지 않고, 작업자 안전 장비가 미흡하여 수많은 인명 사고와 환경 오염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비감독적인 해변 해체 방식은 토양, 해수, 대기를 오염시키고 지역 생태계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이러한 인도적, 환경적 문제를 해결하고 선박 재활용 산업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해 국제적인 규범 마련의 필요성이 제기되었고, 그 결과 HKSRC가 탄생했습니다.
협약의 핵심 목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1.2 협약의 발효
홍콩 협약은 특정 발효 요건을 충족한 후 24개월 뒤에 효력이 발생합니다. 발효 요건은 다음 세 가지 조건을 모두 충족해야 합니다.
이 요건이 2023년에 충족됨에 따라 HKSRC는 2025년 6월 26일부터 공식적으로 발효됩니다.
1.3 협약의 적용 범위
HKSRC는 다음 대상에게 적용됩니다.
즉, HKSRC는 선박의 국적(기국)과 선박이 재활용되는 장소(재활용 시설의 국가) 모두에 적용되는 이중적인 구속력을 가집니다.
2. 홍콩 협약의 주요 요구사항
HKSRC는 선박의 전 생애주기에 걸쳐 여러 단계에서 구체적인 요구사항을 제시합니다.
2.1 유해물질 목록 (Inventory of Hazardous Materials, IHM)
IHM은 홍콩 협약의 가장 핵심적인 요소 중 하나입니다. IHM은 선박에 사용되거나 포함된 특정 유해 물질의 목록을 작성하는 것입니다.
협약의 부속서 I에는 선박에 사용이 금지되거나 제한되는 유해 물질 목록이 명시되어 있으며, IHM은 이러한 물질이 선박의 어느 부분에 어떤 양으로 존재하는지를 기록해야 합니다.
IHM은 선박 건조 시 사용된 자재 정보를 기반으로 작성되며, 선박 수리, 개조 또는 장비 교체 시 유해 물질 목록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해야 합니다. 최종 재활용 시설에서는 이 IHM 정보를 활용하여 안전하고 환경적으로 건전한 해체 계획을 수립하게 됩니다. IHM 작성 및 관리는 EU 선박 재활용 규정(EUSRR) 및 영국 선박 재활용 규정(UKSRR)에서도 요구하는 사항이며, HKSRC 인증은 이러한 다른 규정의 인증 요구사항에 추가되는 것입니다.
2.2 최종 검사 및 재활용 준비 인증
선박이 더 이상 운항할 수 없게 되어 재활용을 위해 최종 목적지로 향할 때는 특별한 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이 절차는 선박이 무분별하게 해체 시설로 보내지는 것을 방지하고, 재활용이 시작되기 전에 필수적인 준비와 확인이 이루어지도록 보장합니다.
2.3 선박 재활용 시설 요구사항
HKSRC는 선박 재활용 시설 자체에도 엄격한 기준을 요구합니다.
이러한 요구사항은 전통적인 해변 해체 방식에서 벗어나, 통제된 환경에서 안전하고 환경친화적인 방식으로 선박 해체가 이루어지도록 유도합니다.
3. 홍콩 협약과 바젤 협약의 상호작용
HKSRC의 발효와 관련하여 가장 중요한 논쟁거리 중 하나는 유해 폐기물의 국가 간 이동을 규제하는 바젤 협약(Basel Convention on the Control of Transboundary Movements of Hazardous Wastes and their Disposal)과의 관계입니다.
IMO는 이러한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재활용 예정 선박의 국가 간 이동에 대한 홍콩 협약 및 바젤 협약의 이행에 관한 잠정 지침(HKSRC.2/Circ.1)' 및 관련 FAQ를 발행하여 회원국들에게 지침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근본적인 해결을 위해서는 국제사회 차원의 추가적인 논의와 명확한 합의가 필요한 상황입니다.
EU는 이러한 불확실성을 해소하고 환경 기준을 강화하기 위해 자체적인 선박 재활용 규정(EUSRR)을 이미 시행하고 있습니다. EUSRR은 유럽 선박(EU 기국 선박)은 EU가 승인한 선박 재활용 시설 목록에 포함된 시설에서만 재활용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으며, 이 목록에는 HKSRC 기준보다 더 엄격한 기준을 충족하는 시설들만 포함되어 있습니다.
4. 규제 준수를 위한 업계의 과제 및 대응 전략
HKSRC의 발효는 선박 생애주기 전반에 걸친 관리 방식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키고 있습니다. 이는 선주, 운영자, 관리자, 그리고 재활용 시설 모두에게 새로운 과제를 안겨줍니다.
4.1 선주, 운영자, 관리자의 과제 및 대응
4.2 선박 재활용 시설의 과제 및 대응
5. 인증기관 및 서비스 제공업체의 지원
규제 준수 과정에서 선주, 운영자, 시설들은 전문적인 지원이 필요하며, 선급 협회와 같은 인증기관 및 전문 서비스 제공업체들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LR(Lloyd's Register)과 같은 기관들은 HKSRC 준수를 위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이러한 서비스에는 다음이 포함됩니다.
이 외에도 다양한 컨설팅 회사들이 IHM 작성, SRFP 개발, 규제 교육 등 HKSRC 준수 전반에 걸쳐 전문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외부 전문가의 도움을 활용하는 것은 규제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준수 비용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결론
2025년 6월 26일 홍콩 선박 재활용 협약(HKSRC)의 발효는 글로벌 해운 및 조선 산업에 중대한 변화를 예고하고 있습니다. 안전하고 환경친화적인 선박 재활용은 더 이상 선택 사항이 아닌 필수적인 요구사항이 되었습니다. 선박의 유해 물질 목록 작성, 최종 검사 및 인증, 그리고 재활용 시설의 인가 및 운영 기준 강화는 선박 생애주기 관리 전반에 걸쳐 새로운 시스템과 절차를 요구합니다.
특히 바젤 협약과의 상호작용에서 발생하는 법적 불확실성은 선주와 운영자에게 복잡한 과제를 안겨주지만, IMO의 잠정 지침과 같은 노력을 통해 점진적으로 해결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또한, EU 선박 재활용 규정과 같은 지역 규제와의 관계를 명확히 이해하고 준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우리 조선업계는 선박 건조 단계부터 HKSRC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IHM 작성을 용이하게 하고, 친환경 재활용을 고려한 설계를 도입함으로써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또한, 선주들에게 HKSRC 준수 솔루션을 제공하는 등 부가적인 서비스 개발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HKSRC 발효는 규제 준수라는 부담과 함께, 안전하고 지속 가능한 선박 재활용 산업으로의 전환을 가속화하고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창출하는 계기가 될 것입니다. 업계 참여자들은 변화하는 규제 환경을 정확히 인지하고, 필요한 투자와 시스템 개선을 통해 다가오는 새로운 시대에 효과적으로 대응해야 할 것입니다.
#홍콩선박재활용협약 #HKSRC #선박재활용 #해상환경규제 #IMO #바젤협약 #IHM #친환경선박 #조선산업 #해운산업
로봇이 배를 만든다! (4) | 2025.06.07 |
---|---|
조선업계의 현재와 미래 전망: 도전과 혁신 (0) | 2025.06.06 |
조선업의 미래, 탄소중립 항해로 결정된다: 규제와 기술의 파고를 넘어 (2) | 2025.06.05 |
미국의 '원 빅 뷰티풀 법안', 한국 조선업에 기회인가 숙제인가? (2) | 2025.06.05 |
이재명 정부의 조선업 재건 비전 (2) | 2025.06.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