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전기로 가는 잠수함' 초읽기, 한화·삼성, 배터리로 가는 잠수함 3년내 내놓는다.

군함,특수선

by 한국 조선업, 신기술, 선박수주 2025. 4. 22. 07:07

본문

반응형

전기 잠수함 개발 개요

  • 한화와 삼성의 협력: 한화와 삼성은 배터리로 가는 잠수함을 3년 내에 출시할 계획이다.
  • 해양 모빌리티의 변화: 이 프로젝트는 해양 모빌리티의 전동화를 촉진할 것으로 기대된다.
  • 전기 잠수함의 인도 시기: 전기 잠수함은 2028년에 해군에 인도될 예정이다.
  • 기술적 발전: 이 프로젝트는 디젤엔진 대신 배터리를 동력원으로 사용하여 연료비 절약과 잠수 시간 증가를 목표로 한다.

배터리 기술의 발전

  • 배터리 개발 현황: 한화오션,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삼성SDI는 잠수함용 배터리를 공동 개발하고 있으며, 3분기 해군의 최종 테스트에 들어간다.
  • 시제품 검증: 해군은 시제품으로 생산된 배터리를 정밀 검증할 예정이다.
  • 상용화 가능성: 한화와 삼성SDI는 즉각적 상용화가 가능한 수준에 도달했다고 판단하고 있다.
  • 해군 테스트: 해군 테스트에서 특별한 하자가 발견되지 않으면, 연말부터 잠수함에 배터리를 장착할 계획이다.

전기 잠수함의 장점

  • 소음 감소: 전기 잠수함은 이동 중이나 정차 중 소음이 거의 나지 않아, 음파 탐지기를 피할 수 있는 군사적 장점이 있다.
  • 잠수 시간 증가: 배터리 용량이 크기 때문에 잠수 시간도 두 배 이상 길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 환경적 이점: 전기 잠수함은 배출가스가 줄어들고 연료비도 절약할 수 있다.
  • 임무 수행 시간 증가: 한화오션 관계자는 배터리 기술 발달로 임무 수행 시간이 크게 늘어날 것이라고 언급하였다.

해양 전동화의 기대 효과

  • 국내 해양 전동화 사업의 전환점: 이번 프로젝트는 국내 해양 전동화 사업의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군의 역할: 군이 먼저 잠수함·선박용 배터리 개발을 견인함으로써 민간 시장 확대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 비용 문제: 민간 기업들이 잠수함·선박용 배터리를 개발하지 않은 이유는 비용 문제가 크다.
  • 기술 축적: 해군 프로젝트를 통해 기술이 축적되고 비용이 낮아질 수 있다는 전망이 있다.

민간 시장으로의 확장 가능성

  • 조선사 및 배터리 기업의 참여: 선박·함정 전동화 시장이 열리면 HD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 등 조선사와 LG에너지솔루션, SK온 등 배터리 기업이 본격적으로 참여할 가능성이 있다.
  • 다양한 응용 분야: 배터리가 전동원으로 자리 잡으면 관광용 잠수정, 여객선, 소형 전기보트, 해양플랜트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
  • 시장 성장 전망: 이러한 변화는 해양 전동화 시장의 성장을 이끌 것으로 예상된다.
  • 경제성: 민간 시장의 참여는 경제성을 고려한 다양한 제품 개발로 이어질 것이다.

글로벌 전기추진선 시장 전망

  • 시장 규모 성장: 글로벌 전기추진선 시장 규모는 2023년 40억200만 달러에서 2032년 280억6900만 달러로 7배가량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 전기차와의 차별성: 잠수함용 배터리는 전기차용 배터리와 달리 요구 스펙이 높아 생산비용이 많이 든다.
  • 해양용 배터리의 수익성: 해양용 배터리는 아직 수익이 나는 단계는 아니지만, 해군 프로젝트 등을 통해 기술이 축적될 것으로 보인다.
  • 미래 시장의 가능성: 이러한 시장 성장 전망은 해양 전동화의 미래 가능성을 더욱 밝게 하고 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