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그룹이 거제조선소를 중심으로 방산 생태계를 구축하고 MRO(유지·보수·운영) 부품 생산을 확대하려는 계획이 최근 '한미 방산협력 현주소와 발전방향 포럼'에서 발표되었습니다. 이 포럼은 한미 방산 협력의 현황과 미래 방향을 논의하는 자리로, 방산 분야의 지속적인 발전 가능성을 모색하는 중요한 기회가 되었습니다.
한화의 방산 생태계 구축 계획
- MRO 부품 생산: 한화오션은 거제조선소 기준 50km 이내에 위치한 1000여 개의 중소 장비업체와 협력하여 MRO 부품을 생산할 계획입니다. 이는 지역 경제 활성화와 방산 생태계의 통합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 원격 지원 시스템: 한화오션은 엔지니어의 원격 지원을 통해 MRO 이후 운영상의 어려움을 겪는 함정에 대한 애프터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입니다.
MRO 사업의 지속 가능성
- 기술 접목: 한화시스템은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MRO 토탈 솔루션을 제공할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무기체계의 상태 데이터를 분석하고 부품의 잔여 수명을 예측하는 CBM+ 전략을 도입할 예정입니다.
- 수출 허가 및 통관 처리 간소화: MRO 사업의 성공적인 확장을 위해서는 수출 허가와 통관 처리의 간소화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되었습니다. 이는 K-방산의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는 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것입니다.
KAI의 MRO 시장 진출
- T-50 훈련기: KAI는 T-50 훈련기를 통해 미국 내 MRO 시장을 선점할 계획입니다. T-50은 미 해군의 차세대 훈련 체계(UJTS) 사업에 참여하고 있으며, 미국 내 생산 기지를 설립하거나 현지 협력업체와의 연계를 통해 '바이 아메리칸' 규정을 준수할 예정입니다.
- 글로벌 MRO 시장 성장: KAI는 미국을 포함한 동맹국으로 시장을 확장하고, 미군의 군사훈련 수요 증가에 맞춰 MRO 사업을 가속화할 계획입니다.
방산 협력의 미래
- 한미 동맹의 전략적 확장: 방산 빅 3가 주도하는 MRO 사업은 한미 동맹의 전략적 확장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유용원 국방위원은 방산 협력의 확장 가능성이 무궁무진하다고 강조하며, 국내 방산업체들의 MRO 사업 참여 확대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습니다.
- 인도·태평양 지역의 방산 회복력 강화: 김용현 국방부 장관은 인도·태평양 지역 방산 회복력 강화를 위해 미국 주도로 출범한 산업 회복력 파트너십에 적극 참여하고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
한화그룹의 방산 생태계 구축과 MRO 사업의 지속 가능성은 방산 산업의 발전과 한미 동맹의 강화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러한 노력은 지역 경제 활성화와 함께 방산 분야의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방산 협력의 미래는 밝으며, 지속적인 기술 혁신과 협력이 필요합니다.
********
MRO(유지·보수·운영) 사업의 지속 가능성에 대한 전문가들의 의견은 다음과 같은 주요 포인트로 요약될 수 있습니다.
MRO 사업의 지속 가능성에 대한 전문가 의견
1. K-방산의 지속 가능성 보장
- 네트워크 형성: 전문가들은 K-방산의 지속 가능성을 보장하기 위해 MRO 관련 기업들의 네트워크 형성이 중요하다고 강조합니다. 이를 통해 중소기업과 대기업 간의 협력이 강화되고, 방산 생태계가 더욱 견고해질 수 있습니다.
2. 해군과 조선소의 역할
- 효과적인 MRO 수행: 해군과 조선소 간의 협력은 MRO 사업의 성공에 필수적입니다. 전문가들은 해군의 운영 경험과 조선소의 기술적 역량이 결합될 때, 보다 효과적인 함정 MRO가 가능하다고 언급합니다.
3. ESG 경영환경 대응
- 지속 가능한 기업 가치: KAI와 같은 방산 기업들은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 경영환경에 신속하게 대응하고 있습니다. 지속 가능한 기업 가치를 높이기 위해 이사회의 책임 경영 활동을 강화하고 있으며, 이는 MRO 사업의 지속 가능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4. 국제 컨퍼런스와 협력
- 산업의 미래 논의: 최근 열린 '2024 대한민국 MRO 국제컨퍼런스'에서는 K-방산 활성화 및 지속 가능한 국방 MRO 산업의 미래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습니다. 이러한 행사들은 전문가들이 모여 MRO 사업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전략을 공유하는 중요한 기회가 됩니다.
결론
전문가들은 MRO 사업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기업 간 협력, 해군과 조선소의 역할 강화, ESG 경영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요소들은 K-방산의 경쟁력을 높이고, 글로벌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하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MRO 사업의 미래는 이러한 협력과 혁신에 달려 있으며, 지속적인 발전이 기대됩니다.
K-조선, 3분기 가동률 100% 초과…선박 건조로 실적 개선 (0) | 2024.11.19 |
---|---|
선박도 하이브리드가 대세 (0) | 2024.11.18 |
2024년 펄펄 나는 한화오션 (0) | 2024.11.15 |
울산조선소 노동자 사망 (0) | 2024.11.14 |
미국 해군함정 MRO사업의 정책과 한국 조선업체의 대응 (1) | 2024.1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