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HD한국조선의 SMR 추진선 개발

조선업

by 한국 조선업, 신기술, 선박수주 2025. 3. 10. 21:33

본문

반응형

HD한국조선의 SMR 추진선 개발
- HD한국조선해양은 조선·해운업계에서 ‘게임 체인저’로 불리는 소형모듈원자로(SMR) 추진 선박과 선박용 수소연료전지 개발을 위해 최대 3000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 SMR 추진선은 벙커C유나 액화천연가스(LNG) 대신 원자력으로 움직이며, 연료 효율이 높고 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점에서 ‘꿈의 선박’으로 평가받고 있다.
- 업계에 따르면, HD한국조선해양은 최근 발행한 교환사채(EB)로 확보한 6000억원 중 2000억~3000억원을 SMR 추진선 개발에 투입하기로 결정하였다.
- SMR 추진선은 연료 탱크가 필요 없기 때문에 화물 적재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투자 계획 및 목표
- HD한국조선해양은 2030년까지 선박용 SMR 모델 개발을 완료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 지난 2024년 SMR 시장의 최강자로 평가받는 미국 테라파워에 3000만달러를 투자한 것은 이 목표 달성을 위한 전략적 투자이다.
- 선박용 수소연료전지는 2028년까지 개발을 완료할 계획이다.
- HD한국조선해양은 해상에서 원자력 발전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해양 부유식 원자력 발전선 (FNPP)도 개발 중이다.

SMR 기술의 장점
- SMR 추진선은 원자력을 동력원으로 사용하여 기존 화석연료보다 효율이 높다.
- 연료 탱크가 필요 없기 때문에 화물 적재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탄소 배출이 전혀 없으며, 원자력 발전으로 인해 에너지 생산 비용이 저렴하다.
- SMR 추진선은 경제성을 갖추고 있어, 유가의 급등락에 대한 걱정이 필요 없다.

중국과의 경쟁
- HD한국조선해양이 초격차 선박 개발에 집중하는 이유는 중국의 조선업체들이 저렴한 인건비와 정부 지원을 바탕으로 점유율을 높이고 있기 때문이다.
- 2022년 기준으로 중국의 상선 시장 점유율은 70%로, 한국은 16%에 불과하다.
- 중국의 조선업체들이 SMR 추진 컨테이너선 설계까지 공개한 상황에서, 한국이 손 놓고 있다가는 시장의 주도권을 잃을 수 있다는 위기감이 반영되었다.

SMR 추진선의 경제성
- SMR 추진선은 벙커C유와 액화천연가스 (LNG)와 달리 탄소를 전혀 배출하지 않는다.
- 원자력 발전을 기반으로 하여 에너지 생산 비용이 저렴하고, 유가의 변동에 대한 걱정이 필요 없다.
- SMR 추진 컨테이너선은 연료탱크나 배기기관이 필요 없어 추가적인 컨테이너 적재가 가능하다.
- 경제성을 갖춘 SMR 추진선은 조선 시장에서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요소이다.

안전성 문제와 투자 리스크
- SMR 추진선은 원자력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안전성이 중요한 변수로 작용한다.
- 선박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발주처에 천문학적인 배상금을 물어줘야 하는 선사 입장에서는 조심스러울 수밖에 없다.
- HD한국조선해양 관계자는 사업별 투자 금액에 대한 공개를 어렵다고 밝혔다.
- 이러한 안전성 문제는 SMR 추진선의 상용화에 있어 중요한 고려사항이 될 것이다.

결론 및 향후 전망
- SMR 추진선이 조선시장의 ‘게임 체인저’가 될 것이라는 데에는 별다른 이견이 없다.
- 그러나 높은 가격이라는 장벽을 넘어야 하며, 상용화를 위해서는 규모의 경제를 갖춰야 한다.
- HD한국조선해양이 개발하는 SMR의 비용은 수천억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상용화에 있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것이다.
- 향후 SMR 추진선의 개발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진다면, 글로벌 조선시장에서의 경쟁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반응형

'조선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RPOL Annex I  (0) 2025.03.11
한화오션의 스텔스 페인트 개발  (0) 2025.03.11
Mooring Trial  (0) 2025.03.10
중,경사 시험  (0) 2025.03.10
트럼프와 한국 조선업의 협력  (0) 2025.03.09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