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중국 조선업의 경쟁력 분석

조선업

by 한국 조선업, 신기술, 선박수주 2025. 3. 11. 22:57

본문

반응형

중국 조선업의 경쟁력 분석
- 중국 조선산업의 경쟁력: 정부 지원과 가격 경쟁력을 바탕으로 성장한 중국 조선산업의 경쟁력이 모든 영역에서 세계 최고 수준에 도달하였다는 분석이 제기되었다.
- 기술 격차: 한국이 앞서 있던 기술 격차가 상당히 좁혀졌으며, 이는 조선업뿐만 아니라 범용 반도체, 석유화학, 철강, 디스플레이, 스마트폰 등 다양한 산업에서도 나타나는 현상이다.
- 한국은행 보고서: 한국은행 북경사무소는 ‘중국의 조선·해운업 동향 및 향후 전망’ 보고서를 통해 중국 조선업의 수주 실적과 밸류체인 경쟁력이 세계 최고 수준이라고 분석하였다.

중국 조선업 수주 실적
- 수주 증가 추세: 2021년부터 중국의 조선업 수주가 큰 폭으로 증가하였으며, 2017년 42.2%였던 중국의 글로벌 선박 수주 시장 점유율이 지난해 70.3%로 증가하였다.
- 한국과 일본의 감소: 같은 기간 한국의 점유율은 25.8%에서 16.3%로 줄어들었고, 일본은 11.1%에서 5.5%로 감소하였다.
- 선박 수주잔량: 지난해 말 기준으로 중국 조선업체의 선박 수주잔량은 전 세계의 58.4%를 차지하며, 한국(23.6%)과 일본(8.4%)보다 많았다.

선박 종류의 다양화
- 선박 종류 확대: 중국 조선업체들은 과거에는 저부가가치 선박 위주로 수주하였으나, 최근에는 고부가가치 선박인 컨테이너선과 가스운반선 등의 수주 계약도 증가하였다.
- 수량 기준 변화: 고부가가치 선박의 수주가 수량 기준으로 5대 중 1대 수준으로 증가하였다.

조선업 밸류체인 경쟁력 변화
- 경쟁력 변화 분석: 산업통상자원부와 산업연구원의 분석에 따르면, 2020년까지 한국은 R&D·설계, 조달, 생산에 강점을 보였고, 중국은 해운업의 수요와 유지·보수에 강점을 보였다.
- 2023년 변화: 2023년에는 R&D·설계와 조달의 경쟁력 격차가 줄어들고, 수요와 유지보수 경쟁력 격차는 벌어졌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중국 정부의 지원 정책
- 정부 지원의 역할: 중국 조선산업의 빠른 성장에는 정부의 막대한 지원이 큰 역할을 하였다.
- 5개년 계획: 중국 정부는 2001년 이후 매 5개년 계획 발표 시 조선 산업을 포함시켜 지속적으로 지원해왔다.
- 해양강국 건설 목표: 2012년부터는 ‘해양강국 건설’을 공개적인 목표로 삼고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였다.

M&A와 시장 점유율 증가
- 기업 간 M&A: 2010년대 중반까지 중국 조선업체들이 난립하며 경쟁이 과열되었으나, 2019년에는 주요 기업들이 합병하여 업계 구조조정이 이루어졌다.
- 시장 점유율 증가: 중국선박공업그룹(CSSC)과 중국선박중공업그룹(CSIC)의 합병 등으로 시장 점유율이 높아졌다.

중국의 물류비용과 인건비
- 물류비용의 영향: 중국 내 철강 공급 과잉으로 인해 선박 건조 원가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후판 가격이 크게 하락하였고, 이는 저가 선박 수주에 기여하였다.
- 인건비 경쟁력: 중국의 조선조 근로자 임금은 한국의 3분의 1 수준으로, 가격 경쟁력을 뒷받침하였다.

미국의 조선업 보호 기조
- 미국의 견제 강화: 한은은 미국에서 조선·해운업 보호 기조가 커지며 중국 조선업에 대한 견제가 심화되고 있다고 분석하였다.
- 코로나 팬데믹의 영향: 코로나 팬데믹을 계기로 글로벌 해운업계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었으며, 미국 정부와 의회는 조선산업 부흥과 해군력 강화를 위한 법안 마련에 나섰다.

한국 조선업의 기회와 우려
- 미국 제재의 긍정적 효과: 중국 조선업에 대한 미국의 제재는 한국 조선업에 호재로 작용할 수 있으며, 글로벌 해운사들의 발주가 중국 업체 대신 한국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 협력 의존의 위험: 그러나 외부 협력에만 의존할 경우 격차가 벌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존재한다.

한국 조선업의 미래 전망
- 기술 격차의 축소: 한국과 중국의 조선업 기술 격차가 상당히 좁혀졌다는 점이 강조되었다.
- 항만 기능의 불확실성: 한국의 주요 항만이 아시아·태평양 지역 내 대표 허브로서 기능을 지속할 수 있을지에 대한 불확실성이 존재한다.
- 산업 육성 방안 제안: 조선·해운업계 내 기업과 정부 간 경쟁이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되므로, 통합적인 산업 육성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제안이 있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