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친환경 선박 시장 변화. 메탄올에서 LNG로

조선업

by 한국 조선업, 신기술, 선박수주 2025. 1. 27. 07:31

본문

반응형

친환경 선박 시장 변화
- LNG 추진선의 부상: 액화천연가스(LNG) 추진선이 친환경 선박 시장에서 메탄올 추진선을 밀어내고 있다.
- 메탄올 추진선의 기세 약화: 메탄올 추진선의 기세가 꺾인 이유는 항만에서 메탄올을 주입할 수 있는 인프라가 부족하고, 메탄올 가격이 상승하고 있기 때문이다.
- 시장 점유율 변화: 2023년에는 메탄올 추진선의 점유율이 급감하여, LNG 추진선이 시장의 주도권을 잡고 있다.
- 국내 조선사에 긍정적 영향: 이러한 변화는 한국의 조선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메탄올과 LNG 점유율 비교
- 발주 현황: 작년 발주된 친환경 선박 810척 중 약 70%가 LNG 이중연료 추진선으로, 메탄올 이중연료 추진선은 14%에 그쳤다.
- 점유율 변화: 2023년에는 LNG 추진선의 점유율이 43%로 증가하고, 메탄올 추진선은 30%로 감소하였다.
- 기타 친환경 선박의 점유율: LNG 추진선의 약진으로 인해 암모니아 추진선 등 기타 친환경 선박의 점유율도 27%에서 16%로 줄어들었다.
- 시장 트렌드: 이러한 점유율 변화는 글로벌 해운사들의 발주 트렌드가 변화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메탄올 추진선의 한계
- 인프라 부족: 메탄올 추진선이 외면받는 주된 이유는 선박에 연료를 공급하는 벙커링 인프라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 전 세계 벙커링 시스템: 메탄올을 주입할 수 있는 벙커링 시스템을 갖춘 항만은 전 세계에 35곳뿐이다.
- LNG 벙커링 가능 항만: 반면, LNG 벙커링이 가능한 항만은 276개에 달하여, 인프라의 차이가 크다.
- 가격 상승: 메탄올 가격이 에너지 밀도와 추출 비용을 고려할 때 LNG보다 세 배가량 비싸다는 점도 한계로 작용하고 있다.

LNG 추진선의 성장
- 계속되는 성장세: 올 들어서도 LNG 추진선의 발주가 이어지고 있으며, HD한국조선해양은 글로벌 3위인 프랑스 CMA-CGM에서 LNG 추진 컨테이너선 12척 건조 계약을 체결하였다.
- 대만 에버그린의 변화: 대만의 에버그린은 지난해 메탄올 추진 컨테이너선 11척 발주 계획을 LNG 추진 컨테이너선으로 변경하였다.
- 머스크의 방향 전환: 글로벌 2위 해운사인 덴마크 머스크도 메탄올에서 LNG 추진선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
- 시장 변화의 지속성: 이러한 변화는 LNG 추진선의 수요가 계속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메탄올과 LNG의 탄소 배출
- 탄소 배출 감소 효과: 메탄올을 이중 연료로 사용하는 선박은 벙커C유만 사용하는 기존 배보다 탄소를 50% 줄일 수 있다.
- LNG의 탄소 배출 감소: LNG 이중연료 추진선은 탄소 배출을 20% 감축할 수 있다.
- 메탄올의 장점: 탄소 배출 절감 효과만 놓고 보면 메탄올 추진선이 LNG 추진선을 압도하는 것으로 평가된다.
- 선택의 기준: 그러나 메탄올 추진선이 외면받는 이유는 인프라 부족과 가격 문제로, 선택의 기준이 달라지고 있다.

벙커링 인프라의 차이
- 인프라의 중요성: 메탄올을 주입할 수 있는 벙커링 시스템이 부족하여 메탄올 추진선의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 LNG 벙커링의 우위: LNG 벙커링이 가능한 항만이 276개로, 메탄올에 비해 훨씬 많은 수치를 기록하고 있다.
- 글로벌 벙커링 현황: 전 세계적으로 메탄올 벙커링 시스템을 갖춘 항만이 35곳에 불과하다는 점은 메탄올 추진선의 한계를 더욱 부각시킨다.
- 시장 접근성: 이러한 인프라의 차이는 시장 접근성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LNG의 가격 경쟁력
- 연료 가격 비교: 메탄올 가격은 에너지 밀도와 추출 비용을 고려할 때 LNG보다 세 배가량 비싸다.
- 가격 상승의 영향: 메탄올 가격 상승은 LNG 추진선의 경쟁력을 더욱 강화시키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 시장 선택의 기준: 연료 가격은 해운사들이 선박 연료를 선택하는 데 중요한 기준이 되고 있다.
- 경제적 요인: 경제적 요인으로 인해 LNG 추진선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미래 전망과 한국의 위치
- LNG 추진선의 증가 예측: 글로벌 조선·해운 인증기관인 노르웨이선급(DNV)은 LNG 추진 선박이 2035년 말에는 지금보다 두 배 이상 늘어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 중국 조선업체의 대응: 중국 조선업체들도 이러한 트렌드를 인식하고 저가 전략으로 LNG 추진선 수주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 미국의 제재 영향: 미국 국방부가 중국 1위 국영 중국선박공업그룹(CSSC)을 블랙리스트에 올린 만큼, 한국 LNG 추진선에 대한 수요에는 큰 영향이 없을 것으로 보인다.
- 한국의 시장 주도권: 한국은 LNG 추진선의 주도권을 상당 기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의 저가 공세와 한국
- 중국의 저가 공세: 중국 조선업체들이 저가로 LNG 추진선 수주에 나서고 있다.
- 미국 제재의 여파: 미국의 제재로 인해 중국의 조선 분야에서 어려움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 한국의 시장 점유율: 한국은 LNG 추진선의 주도권을 상당 기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 업계 관계자의 의견: 업계 관계자는 미국 제재 여파가 조선 분야에서 재연될 수 있다고 언급하였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